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3 6월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단계 '경계'로 하향 조정 코로나19 위기단계 '경계'로 하향 조정 3년 4개월 간 우리의 삶을 바꿔놓았던 코로나 19 비상사태가 오늘이 마지막입니다. 6월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가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됩니다. 1. 방역조치 격리기간은 7일에서 5일 권고로 전환됩니다. 약국이나 동네병원 마스크의무는 권고가 되고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소형 감역취약시설에서만 착용의무가 유지됩니다. 감염취약시설 입소자와 종사자에 대한 검사의무는 풀리고, 종사자에 한해 증상이 있거나 다수인 접촉이 필요할 때 검사가 권고됩니다. 대면 면회 시 취식은 '금지'에서 '허용'으로 전환됩니다. 2. 의료 대응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은 중단하고 선별진료소는 유지합니다.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PCR이나 RAT검사도 지속됩니다. 입국 후 3일 내 .. 2023. 5. 31.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미친짓이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정말 괜찮은가? IAEA 검증의 한계는 명확합니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배출되는 오염수와 관련된 모든 위험과 안전성을 판단하지 않고 있습니다. 검증 범위가 명확히 한정되어 있습니다. 일본의 오염수 방출계획과 그 이행 과정이 IAEA 국제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입니다. 판단의 근거는 대부분 일본 측이 제공하는 자료들입니다. 오염수에 섞인 삼중수소가 장기적으로 해양생태계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ALPS가 30년 넘는 동안 한 번의 고장 없이 성능을 잘 유지할 수 있을지 등 일어날 만한 수많은 경우의 수에 대해 IAEA는 모두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를 내다 버리는 게 정당화되고 나서 본격 유해 쓰레기 처리가 시작될 때, 그때 가서 우리들이 막을 수 있을까? 절대 불가.. 2023. 5. 31. 단순두통, 어지럼증 건보 적용여부를 떠나 무조건 MRI를 찍어야 하는 이유 반드시 확인하세요 단순두통 MRI 건보 적용 안된다 올해 하반기부터 단순 두통이나 어지럼증에 대한 MRI 촬영에는 건강보험 급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뇌출혈 등 의학적 필요성이 분명한 경우에만 급여로 보장한다는 방침입니다. 보건복지부는 30일 건강보험정책 최고의결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MRI 적정 진료를 위한 급여기준 및 심사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관련 안건을 의결했습니다. 이 방안은 지난 2월 발표한 건강보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의 후속조치입니다. 복지부는 두통, 어지럼증으로 MRI검사를 받을 때 사전에 실시되는 신경학적 검사에서 뇌출혈, 뇌경색 등 이상이 있을 경우만 건강보험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현재까지 의료기관은 뇌 MRI 급여청구 내역서에 충혈, 코막힘 등 자율신경계 증상을 동반한 군발두통 증후군을 기재.. 2023. 5. 30. 점핑다이어트의 효과와 주의사항 점핑다이어트는 점프를 이용한 운동으로, 근육강화와 유산소운동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운동입니다. 이를 통해 체지방감량과 다이어트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점핑 다이어트는 운동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도 그 자리에서 점프만 하기 때문에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입니다. 점핑다이어트 효과 1. 지방을 쉽게 태울 수 있다. 제자리에서 점프하는 것은 호흡을 조절하면서 점프하기 때문에 근육훈련보다 산소를 섭취하는 유산소 운동의 일종입니다. 유산소 운동을 계속하면 지방을 태우고 건강한 몸매를 유지하기 쉽습니다. 점핑운동의 가장 큰 장점은 운동을 하러 나갈 필요가 없고 실내에서 점프하는 것만으로도 다이어트에 매우 효과적인 운동입니다. 2. 점핑다이어트 운동은 달리기 운동보다 칼로리소모가 높습니다. 운동을 싫어하거나.. 2023. 5. 30. 위급시 119신고방법과 구급차 이용방법, 응급실정보 안내 최근 응급실을 찾던 도중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병원이나 응급처치의 문제보다는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에 많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교통사고를 당해 크게 다친 70대가 10분 만에 구급차로 실렸지만 2시간여 뒤에 숨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인근 병원 11곳이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힌 탓에 사고가 난 경기 용인시에서 의정부시까지 이동하던 중 사망하게 되었습니다. 응급환자에 대한 119 신고방법 누구든지 응급환자를 발견하면 즉시 응급의료기관 등에 신고해야 합니다. 1. 응급환자 119 신고방법 응급환자를 발견하면 119 안전신고센터로 전화 또는 문자로 도움을 요청해 주세요 2. 응급환자를 신고할 때 자세하게 전달해야 하는 사항들 환자가 발생한 위치와 주소 및 전화번호를 정확하.. 2023. 5. 30.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65 다음 반응형